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기는 말의 기술(2015.05.06)
    예전에 읽은 책들/2015년 읽은 책 2025. 1. 19. 22:14

    1. 근거(데이터)를 제시하라
    2. 연관성을 입증하라
     
    언터처블 논거(박지성, 김연아, 반기문)를 자신이 주장하는 바와 동일화하면 상대 입장에서는 공격하기가 까다로워진다.

     

     
    그건 이 주제와는 상관없는 잘못된 비유입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보통 질문을 받으면 그 질문에 대한 답을 고민하는데, 절대 그러지 말라. 그 질문에 왜 합당한 질문인지를 역으로 상대방이 증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증명은 하려고 하면 피곤하다. 증명하려고 하면 당한다.
     
    논쟁이 벌어질 때마다 사안의 옭고 그림과는 상관없이 무조건 나이가 많고 직급이 높은 쪽을 옹호해 주는 것이다.
     
    상대방을 말로써 논파해 승리를 움켜쥘 때의 쾌감은 누구나 느끼고 싶어 하는 것이다. 하지만 착각이다. 냉정해져야 한다. 그 욕망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이다. 상대방을 논파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상황과 성과를 실질적으로 더 나아지게 개선하는 것이 가장 첫 번째 목적이있어야 한다. 
     
    당신은 왜 매사가 부정적이에요?
    • 나는 이건에 대해서 비판적 의견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 나를 왜곡시켜서 그런 사람으로 몰아가지 마세요
    • 나는 다른 건에 대해서는 칭찬과 긍정도 많이 한 사람입니다.
     
    아무리 긍정적인 사람이라도 문제가 보이면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니 내가 이렇게 부정적인 것은 바로 당신 때문이다. 결코 내 탓이 아니다.
     

     

    나는 지금 비판을 하기 위해서 문제를 제기하는 게 아닙니다. 이 일을 더 잘하기 위한 제언입니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유선은 제갈량의 고언을 거부하고 간신 황호의 좋은 말만 듣다가 나라를 말아 먹었다.
     
    주제 이탈을 노린 질문

     

    A: 지금 무리하게 지출하면 나중에 재정이 악화될 것입니다.
    B: 지금 상사한테 반항 하는 거예요?
    A: 반항이 아니라 건의를 드리는 겁니다.(제 의견을 반항으로 몰아가는 것 자체가 비정상적입니다.)
     
    지금 화내는 거예요?
    지금 저한테 꼬치꼬치 따지는 거예요?
     
    1. 상대방의 질문이 치사하고 야비한 것임을 지적한다.
    2. 상대방의 의도가 왜곡 혹은 몰아가기임을 지적한다.
    3. 질문 자체가 무례하니 답변을 거부한다.
     
     
    A: 지금 삐졌어요? 무슨남자가 그렇게 소심해요
    B: 그런 화법 자체가 치사하고 야비한 것이에요
     
    A: 이번 정책 제도 개선안은 수많은 사람들의 수요가 있는 것입니다. 반드시 반영되어야 합니다.
    B: 혹시 야동 보신 적 있습니까?
    A: 네
    B: 대한민국 남자 상당수가 야동을 보고 있다더군요. 인터넷에 가 보면 수많은 남성들의 야동 수요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야동 수요가 이렇게 많으니 정책적으로 법제화해서 양성해야 할까요? 수요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정책화해야 하는 건가요?
     
    질문에 답변을 해야만 한다는 그릇된 고정관념은 비단 A만 가지고 있는 문제가 아니다. 그 고정관념을 깨지 않고는 고수들을 당해 낼 수가 없다. 대신 이렇게 대처하자
    "그런 건 왜 물어 보세요?"
    "그런 것을 물어 보는 것 자체가 무례입니다."
     
     
    바둑에서 유래한 유명한 격언 중에 "상대 손따라 두면 망한다"는 말이 있다. 
    " 조금 더 자세하게 말해 주겠어요?"
    "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겠어요?"
    " 이 사안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도 취급 전술의 기본 구도는 상대방을 부정적인 인간상으로 취급해 버리는 것이다. 부정적인 인간상을 연상시키는 개념은 널려 있다. 
    욕심쟁이, 이기주의자, 소심한 사람, 고지식한 사람
    1. 상대의 캐릭터를 이용하기
    2. 상대의 동기를 이용하기
    3. 상대의 말을 이용하기
     
    "한국 정치의 모든 문제가 지역감정 때문만은 아니다"
    "한국 경제의 모든 문제가 대기업 때문만은 아니다"
     

     

    "선배님 의견과 다르면 무조건 고지식 한 것입니까? 고지식이란 말은 흔히 굳이 지키지 않아도 되는 것을 고집스럽게 지키자고 할 때 쓰는 말 아닌가요? 반면, 지켜야 할 것을 지키지 않는 것은 위반이죠?"
    "지금 상황에서 융통성이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은데요. 융통성은 일을 문제 없이 잘 처리하는 것이지, 위험한 줄 빤히 알면서도 하는게 융통성은 아니잖아요? 그건 도박이죠"
     
     
    이것은 일종의 심리전이기도 하다. 사람은 동시에 두세 가지에 집중하기 어렵다
    당신의 주장은 고지식한 것이다.
    1단계: 지금 상황은 고지식이라는 말과 맞지 않다
    2단계: 고지식은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무조건 옛것만 주장하는 것을 지칭하는 말이다.
    3단계: 반면, 당신의 행위는 위반이고 도박이다.
     
    평소의 말과 행동에 무게를 실어라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