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평생 부자로 사는 주식투자
    예전에 읽은 책들/2023년 읽은 책 2023. 12. 28. 07:57

     


    54
    혁신이나 변화는 위기가 찾아와야 만들어진다. 아이러니하게도 기업 발전,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위기 속에 숨어 있다. 그렇게 세상은 진화해왔다.
     
    138
    수익모형은 하나만 있는 게 아니다
    해마다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새롭게 입문하지만, 잘 버티어내고 오랫동안 이 세계에서 머무는 사람은 생각보다 드물다.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로 남느냐 또는 초라한 빈손으로 시장을 떠나느냐의 기준은 수익을 내느냐 마느냐의 여부에 달려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주식투자를 하는 이유와 목적은 수익을 냄으로써 돈을 벌기 위함이다. 
     
    지금은 개인투자자 인구가 700만 시대라고 알려졌 있는데, 700만 투자자의 성향은 모두 제각각이고 투자에 입문한 이후의 경험이나 투자 기간도 저마다 다르다.
     
    자신의 상황이나 성향에 알맞은 투자 수익모형이 있게 마련이다. 바로 그 모형을 찾는 것이 급선무다. 
     
    158
    고급 정보를 알아야만 주식할 수 있다는 편견에서 벗어나자. 결국 고급 정보란 것들이 일반 투자자에게까지 갈 리 만무하다. 그런 정보를 받았다면 이미 고급 정보가 아니거나 거짓 정보 둘 중 하나다. 
     
    172
    가치주 투자란 결국 어떤 기업이 크게 성장할 때가지 짧게는 몇 년, 길게는 수십 년을 기다려야 하는 일이다. 바로 눈앞에서 수익이 나야 하는 일반 투자자나 생계가 달린 전업투자자 입장에서는 가치주 투자 대신 중심주 투자가 한결 더 적당한 투자다.
    우리가 한번 몸에 들인 투자습관이나 투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점검하자는 이야기로 생각해주시기 바란다. 특히 일반 개인투자자라면 '투자 사고의 유연성을 갖추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도 인식하기 바란다.
     
     
     
    186
    중장기투자의 리스크
    일반적인 주식투자 리스크라 함은 기업이 추가로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유상증자 리스크, 기업 오너에 대한 리스크나 또한 기업 자체에 대한 리스크 등을 말한다. 
     
    분산투자의 취지는 어느 한 곳에서 잃더라도 다른 한 곳에서 잃은 만큼 회복하면 손해가 아니라는 일종의 '헷지 전략'이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 분산투자의 경우 어느 한 곳에서 수익이 나면 다른 곳에서 손해가 나는 일이 다반사다. 따라서 투자원금을 지킬 수는 있어도 큰 수익을 내기에는 이 전략이 한계가 있다. 
     
    194
    단기 주식투자를 배우고 싶은 투자자라면 일단 기본적으로 우량한 종목을 가지고 1~2년 정도 단기투자 연습을 해본 후에 도전하는 게 좋다. 우량한 종목이라고 하면 삼성전자, 연대차와 같은 주식이다. 
     
    단기투자의 포트폴리오는 중장기투자 시 포트폴리오와 달리 접근해야 한다. 한두 종목에 집중하는 것이 포인트다. 그것이 단기투자 시 가장 중요한 포트폴리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매수한 종목이 너무 많으면 일일이 대응할 수 없어 집중력이 분산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열이면 아홉,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놓치고 만다 .
     
    196
    단기투자에서의 매수
    일부에서는 '감각'이라고도 부르지만 나는 투자자 '뇌'에 누적된 데이터에 의한 '반응적 매매'라고 말하고 싶다. 
    단기투자라고 해서 반드시 전업투자자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1~2주일의 시간을 가지고 매매하는 단기투자는 직장인 투자자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210
    필자는 간절함과 절실함에 어울리는 기본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생활비를 벌 실력도 없이 전업투자를 하는 일을 비유하자면, 아무것도 모르고 창업하는 일과 똑같은 일이다. 아무것도 모르고 창업한 사업의 끝은 당연히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 
    나는 지금 생각해도 턱없이 부족한 종자돈 1,000만 원으로 한 달 생활비를 벌 자신이 충분했기에 전업투자의 길로 용감히 나섰다. 사실 전업투자로 나서기 이전에는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14년간 주식투자를 병행한 경험이 있었다. 
     
    ① 장이 안 좋을 때 투자하지 마라!
    ② 비싼 가격에 주식을 사지 마라!
    ③ 항상 매매하려고 하지 마라
     
    오랫동안 주식투자를 했음에도 수익보다 손실이 더 크다면, 나쁜 매매습관을 갖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 아마도 여러분이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만약 자신에게 손실을 주는 나쁜 매매습관이 무엇인지조차 모른다면 전업투자를 포기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213
    전업투자자라면 일반 투자자보다 당연히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공부가 성공적인 주식투자를 끌어주는 자양분이 된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필자가 책 곳곳에 공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반복해서 강조하는이유도 주식투자의 성패 여부가 공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공부는 주식투자 실력을 쌓는 데 도움이 되고, 투자 실력은 실패의 리스크를 낮추는 데 유용하다.
     
    문제는 당연한 이야기 조차 실천하지 않는 나태함에 숨어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229
    인간에게는 창의력, 응용력, 적응력이란 능력이 주어졌다. 
    직장인이기 때문에 투자 환경이 불리하다는 생각을 버리고, 비록 직장인일지라도 '주식투자를 통해 월급 이상의 수익을 충분히 낼 수 있다!'는 믿음을 갖도록 하자.
     
    240
    사람들은 스스로를 이성적 합리적 존재라고 표현한다. 더욱 솔직히 말하자면 자신이 이성적 존재라고 믿는 자기 암시에 빠져 있는 분들도 많다. 인간은 정말로 이성적/합리적 존재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사를 자기중심적으로 판단하고 생각한다. 자신이 믿는 생각과 전혀 다른 결정적 반증, 증거가 눈앞에 있어도 바위보다 무거운 자기 중심적 사고가 쉽게 깨지지 않는다. 우리는 스스로 합리적인 존재라고 믿지만, 자기 생각과 고집만 앞세우는 존재에 가깝다. 
     
    주식투자자는 크게 두 가지 심리를 가지고 있다고 전해지는데, '군중심리'와 '후회기피심리'다.
    '군중심리'란 많은 사람의 행동을 따르려는 것을 말한다. 대세를 안 따르면 마음이 불안해진다. 
    '후회기피심리'란, 후회할 일이 생겼을 때의 고통을 줄이고자 미리 변명거리를 준비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오를 주식을 미리 팔고, 크게 떨어질 주식을 오랫동안 보유하는 행위다. 그 결과 수익은 조금 나고 손실은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 또한 우리에게는 매우 익숙한 일이다. 
     
    278
    돈에 대한 집중력 갖추기
    투자금액이 얼마 되지 않을 때, 너무 장기투자 개념으로 접근하면 돈이 불어나는 속도가 상당히 더딜 수 있다. 작은 돈으로 투자를 하는 경우라면 일단 먼저 돈이 빨리 불어날 확률이 높은 방향으로 투자해야 한다. 일단 돈이 모아져야 한다. 
    나는 1억 기준으로 2종목 이상을 매수해본 적이 거의 없었다고 들려준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