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국주식 선강퉁(제2의 Google)을 찾아라
    예전에 읽은 책들/2024년 읽은 책 2024. 3. 15. 07:43

     

    26

    경제성장의 경우, 다음과 같은 8개 주요 범주의 문제가 경제를 정체시키거나 퇴화시킨다. 

    첫째, 최빈국들의 핵심적 문제는 빈곤 그 자체가 함정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자연지리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셋째, 재정적 함정도 중요하다. 

    넷째, 통치구조의 실패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문화적 장벽도 중요하다. 

    여섯째, 지정학적 요인도 중요하다. 

    일곱째, 혁신의 결여도 성장을 지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인구 함정이 성장에 결정적인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62

    중국 경제 4가지 문제

    1) 도시와 농촌의 불평등

    2) 임금 급등

    3) 위안화의 평가절하 가능성

    4) 부동산 버블 위험

     

    73

    중국 후강퉁의 수익률 상위 종목 10개

    종목명 업종 수익률
    풍성홀딩스 전기전자 709%
    서부황금 비철금속 552%
    탁이개발그룹 유통 432%
    하오라이커 유통 429%
    구정투자 부동산 427%
    UE가구 유한공사 유통 408%
    춘추항공 운수창고 397%
    준야오항공 운수창고 361%
    복건옹미환경위생 기계장비 358%
    취메이가구 유통 351%

     

    75

    중국은 경제규모가 미국을 넘어서기 전에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과 맞닥뜨릴 수 있다. 

    1) 위안화의 급격한 절하(위안화 약세)

    2) 부동산 거품 붕괴

    3) 주식시장 급락

    4) 사회적 불만 분출

     

    첫째, 중국은 부패척결이 쉽지 않을 것이다. 

    둘째, 노령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다.

    셋째, 80년생 이후의 바랑허우(1가구 1자녀 출생) 사회복지를 위해 자신의 부를 나누려는 생각이 별로 없다.

    넷째, 노동집약형 경제에서 지식집약형 경제로 넘어가기 위한 수단의 한계

     

    87

    중국 은행주에 대한 장기투자는 절대 권하지 않는다. 또한 홍콩H지수는 은행주가 시가총액의 65%를 넘으므로, 이 지수를 토대로 한 ELS상품에 대한 투자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 다만 배당을 받을 때마다 투자했다가 다시 파는 단타성 중국 은행주 투자는 충분히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책이 2016년 11월에 출간 되었는데, 홍콩H지수에 대해서 현재 2024년의 상황을 상당히 잘 알아 맞추고 있다. 

     

    96

    상해종합지수 - 중기적 상승세

    CSI300지수 - 중기적 상승세

    심천종합지수 - 업종, 종목 선택이 중요하다. 

     

    성장주 투자는 성공하기가 어렵다. 

    중국 주식투자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결국 업종, 종목 선별이다. 특히 선강퉁 투자는 종목 개발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258

    중국 주식시장은 크게 상해거래소, 심천거래소, 홍콩거래소로 나뉜다. 이 중 중국 본토 시장은 상해거래소와 심천거래소이다. 이 거래소는 A주와 B주로 구분되어 있으며, A주는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거래할 수 있고, B주는 외국인 전용시장이다. 

     

    상해거래소(SSE, A주: 종목 코드가 600으로 시작, B주: 종목 코드가 90으로 시작)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 4위의 시장이다. 

    심천거래소(SZSE)는 상해거래소가 설립된 지 1년 후인 1991년 7월 6개 상장사로 출범했으며, 지역적으로 홍콩, 대만과 인접해 기술주, 중소형 민간기업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 (종목 코드가 000, 002로 시작) 2009년 10월 벤처 및 신규기업 시장을 위한 창업판(300시작)을 설립하며 중국판 나스닥 시장으로 부상했다. 세계 7위 시장

     

    상해 A주를 거래할 수 있는 후강퉁

     

    심천 A주를 거래할 수 있는 선강퉁

     

     

    홍콩은 휴일이지만 상해가 휴일이 아닌 경우 상해시장은 열리지만, 후강퉁, 선강퉁 제도로 주식을 매매하는 외국인들은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홍콩 시장이 쉬므로 중국 본토 주식을 매매할 수 없다. 

     

    264

    중국 주식, 어떤 종목이 안정적인가?

     

    가장 쉬운 대안은 지수를 사는 것이다. 그런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지수는 사실 반은 사기가 아닌가 싶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지수들은 그 나라의 대표 기업들로 구성되는데, 앞에서 본 것처럼 대표 기업이 매년 바뀔 수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지수는 구성 종목 중에서 실적이나 산업전망이 부진하면 빼고 우량 종목으로 변경하여 산정된다. 

    개인투자자들은 어떤 종목이 크게 상승할지, 하락할지 알기 어렵다. 그래서 쉬운 대안으로 지수에 투자하는 펀드로 간접투자를 하거나, 혹은 ETF로 장기투자를 하려고 한다. 

     

    어떻게 안정적인 종목을 찾을 것인가 - 국유기업에 주목하자.

    KODEX 중국본토 A50편입 종목

    평안보험, 중국민생은행, 흥업은행, 중국초상은행, 상해푸동발전은행, 귀주모태, 중신증권, 교통은행, 중국농업은행

     

    274

    저PER 종목 찾는 법

    주가수익비율(PER)에서 분자인 주가는 낮은데 분모인 주당순이익이 유지되는 종목이라면, 당연히 PER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른바 저평가 우량주들이 여기에 속한다. 혹은 분자인 주가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데 분모인 주당순이익이 크게 증가해도 당연히 PER이 낮아지게 된다. 

     

    순이익은 그대로인데 무상증자나 주식 배당, BW행사 등으로 주식수가 증가하여 분모인 주당순이익이 낮아졌다면, 기업의 이익이나 주가 수준에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PER주로 보일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기업의 실적이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주당순이익의 하락폭보다 주가의 하락폭이 더욱 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저PER 주로 보일 수도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