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렌 버핏만 알고 있는 주식투자의 비밀예전에 읽은 책들/2024년 읽은 책 2024. 3. 25. 07:27
20
가치투자 혹은 내재가치투자로 알려진 워런 버핏의 투자법은 한마디로 '좋은 주식을 적절한 가격에 사서 충분한 수익률을 올릴 때까지 보유하는 것'이다.
좋은 주식이란 무엇인가? 저자들은 워런 버핏이 선호하는 좋은 기업을 '소비자독점 기업' 부른다.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39
워런 버핏은 아무리 지적인 사람이라도 투자 행동은 야수의 본능에 지배된다는 것을 알았다.
펀드의 세계에서는 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야수의 본능에 지배되어 막대한 돈을 가지고 단기 게임을 한다. 펀드매니저의 개인적 소신이 무엇이든 간에 단기간에 가능한 최고의 실적을 올려야 그 펀드매니저는 직장을 유지할 수 있다.
'나쁜 뉴스 현상', 즉 나쁜 뉴스에 주식을 파는 현상은 끊임없이 변하는 주식시장에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현상이다.
소비자독점 기업 consumer monopolies
56
워런 버핏은 훌륭한 명성을 가진 경영자가 나쁜 명성을 가진 회사와 만날 때 변하지 않는 것은 그 회사의 나쁜 명성이라고 즐겨 말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누가 경영을 하더라도 본래 열악한 경제성을 가진 회사가 훌륭한 경제성을 가진 회사로 바뀔 수는 없다는 것이다. 미운 오리 새끼는 동화에서만 아름다운 백조가 된다. 비즈니스 세계에서 미운 오리 새끼는 어떤 왕자가 키스를 해도 변하지 않고 여전히 미운 오리 새끼로 남는다.
83 소비자독점 기업 판별법
질문1. 소비자독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가?
질문2. 역대 실적을 볼 때 강한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는가?
질문3. 부채가 있는가?
질문4.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은가?
질문5. 이익잉여금의 상당 부분을 현재 사업을 유지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가?
질문6. 이익잉여금의 신규 사업이나 자사주 매입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가?
질문7. 인플레이션에 맞춰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가?
질문8. 이익잉여금의 증가가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인가?
질문1. 소비자 독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가?
유명한 제품을 갖고 있다고 해서 그 회사가 곧 훌륭한 회사라는 의미는 아니다.
질문2. 역대 실적을 볼 때 강한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는가?
소비자독점은 훌륭한 것이다.
회사C 주당순이익(EPS) 연도 회사D 주당순이익(EPS) 1.07 2007 1.07 1.16 2008 1.16 1.28 2009 1.28 1.42 2010 1.70 1.64 2011 1.90 1.60 2012 2.39 1.90 2013 1.75 2.39 2014 0.52 -1.22
손실발생2015 0.52
급격한하락
이런 추세에는 즉각 의문을 가져야 하며 손실의 성격이 무엇인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예외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앞으로 닥칠 상황의 전조인지, 시정될 수 있는 문제인지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
질문3. 부채가 있는가?
상품형 기업이 다른 상품형 기업과 합친다면, 재앙으로 막을 내린다. 둘 다 부채를 갚을 충분한 수익을 낼 수 없다.
질문4.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높은가?
자기자본은 회사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이다.
워런 버핏이 지속적으로 높은 자기자본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회사에만 관심을 가진다는 것 그리고 지속적으로 높은 자기자본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회사는 소비자독점 기업이라는 사실만 기억해 두자.
질문5. 이익잉여금의 상당부분을 현재 사업을 유지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가?
우선 워런 버핏은 파산 전 AT&T가 투자 대상으로 좋지 않은 회사라는 사실을 설명했다. 비록 AT&T가 많은 돈을 벌었지만, 규제가 많았고 번 돈보다 훨씬 많은 돈을 자본 요구(R&D와 인프라 구축)에 투입해야만 했다.
한편 한 신문만 발행되는 도시들에서 신문사를 소유한 톰슨 출판사는 각 도시의 신문 독자를 독점함으로써 많은 돈을 벌었다. 신문의 경우, 일단 인쇄 기반을 구축하면, 주주의 돈을 빼앗아 가는 자본 요구가 거의 없다.
여기서 교훈은 자본 요구가 없는 회사의 가치는 상승하고 그렇지 않은 회사는 추가 자본을 투자해야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질문6. 이익잉여금을 신규 사업이나 자사주 매입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가?
수익을 올릴 기회도 없고 경영 능력도 없는 회사에 자금을 투자하면 그 투자는 좌초하고 만다.
질문7. 인플레이션에 맞춰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가?
상품형 기업의 경우 인플레이션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승하지만, 심한 경쟁 때문에 제품 가격은 하락한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소비자독점 기업이 여러분엑 ㅔ주는 것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주가 상승이다 .상품형 기업의 경우, 인플레이션에 따라 생산비용은 상승하지만 제품 가격은 하락해 주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독점 기업의 경우, 생산비용 상승에 맞춰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있기 때문에 회사 가치와 주가가 인플레이션에 따라 상승한다.
질문8. 이익잉여금의 증가가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인가?
워런 버핏은, 만약 소비자 독점 기업의 주식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다면, 그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잉여금이 회사의 가치와 주가를 계속 상승시킬 것이라고 믿었다.
119
버핏식 황금주식의 4가지 유형
1. 금방 소비되는 제품, 유명하고 인기 있는 제품, 상인들이 장사를 위해 반드시 구비해야 할 제품을 만드는 회사
2. 제조업체가 제품 광고를 위해 계속 이용해야 하는 미디어 기업
3. 대중과 기업들이 항상 필요로 하는 반복적인 서비를 제공하는 회사
4. 해당 지역에 준독점적인 지위를 가진 보석상이나 가구상 같은 소매 유통업체
어떤 특정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가 하나뿐이어서 그 회사에게서만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면, 판매업자는 그 회사가 요구하는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여기서 가격 책정권은 판매업자가 아니라 제조업체가 갖는다.
137
주식시장의 조정과 패닉은 이해하기 쉽고 보통은 가장 안전한 경우다. 왜냐하면 주식시장이 조정과 패닉 상태에 빠졌다고 해도 해당 기업의 실적이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148
나쁜 뉴스(악재) 상황은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주식시장의 조정과 패닉, 경기 침체, 개별 기업의 일시적 악재 그리고 회사의 구조적 변화 등이 그것이다.
155
여러분이 가장 먼저 피해야 할 주식은 그 당시 가장 인기 있는 주식이다.
번호 종목명 ROE 주가와 투자지표 최근1년 5년평균 10년평균 주가와 투자지표 PER PBR ROE 1 오뚜기 13 12 13 738,000 18.5 2.47 13 2 LG생활건강 22 23 25 916,000 25.2 5.65 22 3 국보디자인 12 14 13 15,250 10.7 1.32 12 4 SK텔레콤 10 11 12 235,500 11.3 1.19 10 5 리노공업 18 19 18 42,200 18.2 3.2 18 6 대원제약 13 11 12 22,800 20.5 2.57 13 7 동국제약 17 14 14 67,700 14.8 2.54 17 8 제일기획 12 12 14 18,050 23.5 2.72 12 9 한온시스템 16 17 16 8,530 15.6 2.49 16 10 아모레퍼시픽 16 14 15 313,000 28.6 4.72 16 11 나이스정보통신 20 24 23 27,150 8.9 1.79 20 12 대봉엘에스 13 12 12 13,000 17.2 2.29 13 13 강원랜드 14 13 16 37,100 17.5 2.44 14 14 한전KPS 11 21 20 58,800 30 3.35 11 15 케이아이엔엑스 11 11 13 13,850 11.7 1.27 11 16 리드코프 12 16 16 7,270 5.9 0.68 12 17 NPC 17 15 13 6,510 5.9 0.97 17 18 극동유화 10 11 11 3,765 9.4 0.94 10 19 에이스침대 8 9 11 169,200 12.4 1.01 8 20 에스원 13 13 16 98,400 26.6 3.4 13 21 KT&G 17 15 18 104,000 11.6 2.03 17 22 현대모비스 11 15 18 228,500 7.3 0.78 11 23 케이디켐 13 13 13 18,000 8.8 1.14 13 24 코리아오토글라스 15 12 16 16,850 8 1.21 15 25 유나이티드제약 11 11 14 19,800 16.4 1.81 11 번호 종목명 ROE 주가와 투자지표 최근1년 5년평균 10년평균 주가와 투자지표 PER PBR ROE 26 넥센 12 12 12 8,260 4.2 0.51 12 27 삼성전자 12 16 15 2,276,000 14.2 1.71 12 28 코프라 14 15 17 13,550 10.7 1.5 14 29 나이스디앤비 17 15 15 6,330 17.3 2.89 17 30 한글과컴퓨터 9 12 12 17,400 26.9 2.53 9 31 유한양행 11 8 10 234,000 16.9 1.82 11 32 셀바이오텍 22 20 17 37,350 19 4.17 22 33 한샘 24 23 19 221,000 40.8 9.61 24 34 인바디 18 16 16 29,200 23.5 4.33 18 35 SK바이오랜드 10 9 12 19,250 23.2 2.21 10 36 경동제약 8 9 11 18,750 14.1 1.19 8 37 에버다임 10 10 13 9,610 9.8 1.03 10 38 진로발효 21 25 21 31,600 13.3 2.84 21 39 현대E P 19 17 17 7,800 4.9 0.94 19 40 엔에스쇼핑 13 21 21 170,000 11.4 1.51 13 41 상신브레이크 13 16 13 6,740 7.4 0.96 13 42 세운메디칼 11 10 12 3,960 20.8 2.37 11 43 세보엠이씨 12 10 10 8,150 6 0.73 12 44 케이씨텍 15 12 11 14,600 10.2 1.54 15 45 인터로조 21 17 19 39,500 22 4.7 21 46 쿠쿠전자 14 15 14 133,500 16.1 2.32 14 47 LIG넥스원 12 13 15 79,500 22.7 2.77 12 48 미창석유 13 11 15 86,400 4.9 0.62 13 49 NICE평가정보 18 15 13 8,280 17.8 3.24 18 50 고려아연 11 11 16 422,500 13.5 1.45 11
1. 해당 회사는 특별한 소비자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는가?LG생활건강은 화장품과 생활용품, 음료 사업을 주로한다.
주요 화장품 브랜드 오휘, 이자녹스, 수려한, 더페이스샵과 엘라스틴 샴프, 페리오치약, 샤프란 등 생활용품으로 쉽게 만날 수 있는 회사다
음료 부분은 자회사인 코카콜라 한국법인을 통해 사업한다.
2. 그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왜 소비자 독점적 지위를 갖는지 이해하는가?
화장품은 브랜드에 대한 평판이 제품 구매에 영향을 준다. LG생활건강은 아모레퍼시픽과 함께 국내 대표적인 화장품 브랜드를 다수 보유했다.
생활용품은 20~30년 동안 브랜드명을 유지한 제품이 많다. 페리오치약, 샤프란, 자연퐁, 홈스타 등이 대표적이다. 오랜 기간 소비자들에게 노출돼 사용 경험이 축적돼있다.
코카콜라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료중 하나로, LG생활건강이 2007년 한국법인 지분을 취득해 사업중이다.
3. 해당 회사가 소비자 독점적 제품이나 서비스를 갖고 있다면, 그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20년 후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것이 되거나 아니면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로 대체될 가능성은 어느정도인가?
LG생활건강의 2017년 매출의 51%, 영업이익의 65%는 화장품이 차지한다. 화장품은 매일 사용되는 소모성 품목이다. 또한 남성용 화장품이란 잠재 시장이 있어 수요가 계속 늘어날 여지가 있다. 또한 20년 후에도 코카콜라를 마시고 싶은 입맛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LG생활건강은 코카콜라 음료 지분 90%를 보유했다.
4. 그 회사가 재벌 기업인가?
LG생활건강은 LG그룹 계열사다.
재벌 그룹의 계열사이긴 하지만, 여러 계열사를 거느린 재벌기업으로 보긴 어렵다.
5. 그 회사의 역대 주당순이익 동향은 어떤가
연도 주당순이익 계산 2006 3,030 현재가치 2007 4,514 복리 계산기를 사용하여 주당순이익 성장률 구하기: 기준연도의 주당순이익을 현재가치(PV), 10년차 주당순이익을 미래가치, 연수는 10년
(26.6)%2008 6,735 2009 9,018 2010 13,016 2011 14,941 2012 17,154 2013 20,166 2014 19,722 2015 25,982 2016 32,070 미래가치 6. 그 회사는 지속적인 높은 자기자본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는가?
연도 자기자본이익률 2007 2,093% 평균자기자본이익률
10년가 자기자본이익률 평균
(24.47)%2008 2,469% 2009 2,627% 2010 2,926% 2011 2,654% 2012 2,530% 2013 2,536% 2014 2,134% 2015 2,260% 2016 2,244% 7. 그 회사의 자금 운용이 보수적인가?
현재의 총 장기 부채(7344억)원 그해의 총 순이익(5682억)원으로 나누면, 총 장기 부채를 모두 변제하는 데 (1.29)년 의 총 순이익이 필요하다.
8. 해당 회사가 적극적으로 자사주 매입을 하는가?
10년전 발행주식수(15618197)주
현재 발행주식수(15618197)주
9. 해당 회사는 인플레이션에 맞춰 가격을 올릴 수 있는가?
품목 2006 2016 인상률 페리오치약 1650 2020 22% 자연퐁 3060 4020 31% Tech 9280 14400 55% 이자녹스 로션 21300 25200 18% 10. 해당 회사의 주가가 주식시장 패닉, 경기침체, 아니면 극복할 수 있는 개별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가?
11. 국채 수익률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만약 국채 수익률이 더 높다면 주가가 너무 높은 것일수 있다.
12. 주당자기자본 성장률로 연간 복합수익률 예측하기
10년 전 주당자기자본(17946)원을 현재가치로(PV)로, 최근 연도 주당자기자본(142927)원을 미래가치로(FV), 연수 10을 입력하고, 계산 키를 치면 지난10년간 주당자기자본 성장률은 (23.06%)다
그 회사의 최근 연도 주당자기자본(142927)을 현재가치로, 지난 10년간 자기자본 성장률을 복합수익률(I)로 사용하자. 그리고 연수 10을 입력하고, 10년후 예상 주당자기자본은 (1142075)원이다.
그 주식의 10년 후 미래 주가를 예측하기 위해, 예상 주당자기자본(1142075)원과 평균 자기자본이익률(24.47)%를 곱하자. 그러면 그 회사의 10년 후 예상 주당순이익은(279500)원이 된다. 이 예상 주당순이익에 이 회사의 지난 10년간 평균 주가수익비율(29.73%)를 곱하면, 이 회사의 10년 후 예상 미래 주가는 (8309535)원이 된다.
이 회사의 현재 주가(946000)원을 현재가치, 예상 미래주가(8309535)원을 미래가치로 10년 계산하면 예상 연간 복합수익률은 (24.3%)가 된다.
- 지난 10년간 주당자기자본 성장률(23.06%)
- 최근 연도의 주당자기자본(142927)
그 회사의 지난 10년간 연평균 주가수익비율(29.73)
향후 10년간 예상 자기자본 성장률(23.06%)
향후 10년 후 이회사의 예상 주가(8309535)원
현재 주가(946000)
13. 주당순이익 성장률로 연간 복합 수익률 예측하기
연도 주가 2016 946,000 연간복합수익률
(26.7)%2017 1,207,056 2018 1,528,133 2019 1,934,617 2020 2,449,225 2021 3,100,719 2022 3,925,510 2023 4,969,696 2024 6,291,635 2025 7,965,210 2026 10,083,956
'예전에 읽은 책들 > 2024년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플로 The Flow (0) 2024.04.02 워렌 버핏의 주식투자 콘서트 (0) 2024.04.01 지금 중국 주식 천만원이면 10년 후 강남 아파트를 산다 (0) 2024.03.20 투자 트렌드를 알면 100억이 보인다 (3) 2024.03.19 펭수의 시대 (0) 2024.03.18